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프로야구 중계권 2025 프로야구 일정 새롭게 변경된 규정 올스타전

by balance 7 2025. 3. 25.
반응형

2025 프로야구 중계권 2025 프로야구 일정 새롭게 변경된 규정 올스타전

2025 프로야구 중계권 2025 프로야구 일정 새롭게 변경된 규정 올스타전
2025 프로야구 중계권 2025 프로야구 일정 새롭게 변경된 규정 올스타전

​2025년 한국프로야구(KBO) 시즌이 다가오면서 팬들과 관계자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중계권 계약, 경기 일정, 그리고 새로운 규정 등 다양한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 이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2025 프로야구 중계권

KBO는 2024년부터 2026년까지 CJ ENM과 유무선 중계방송권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 계약은 3년간 총 1,350억 원(연 평균 450억 원) 규모로,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최대 규모의 유무선 중계권 금액입니다.

이는 기존 5년간 총 1,100억 원(연 평균 220억 원)보다 연 평균 금액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

또한, KBO는 지상파 3사와 3년간 총 1,620억 원(연 평균 540억 원) 규모의 TV 중계방송권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KBO 리그의 산업화에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2. 2025 프로야구 일정

2025년 KBO 시범경기는 3월 8일(토)부터 18일(화)까지 진행되며, 팀당 10경기씩 총 50경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경기는 매일 오후 1시에 시작되며, 연장전과 더블헤더는 실시되지 않습니다.

기상 등의 이유로 경기가 취소될 경우 재편성되지 않습니다. ​

정규 시즌 개막은 3월 22일(토)로 예정되어 있으며, 전국 5개 구장에서 개막전이 동시에 진행됩니다.

개막전 대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잠실구장 : 롯데 자이언츠 vs. LG 트윈스​
  • 문학구장 : NC 다이노스 vs. KIA 타이거즈​
  • 대전구장 : 한화 이글스 vs. KT 위즈​
  • 수원구장 : 두산 베어스 vs. 삼성 라이온즈
  • 마산구장 : SK 와이번스 vs. 키움 히어로즈​

3. 새롭게 변경된 규정

2025 시즌부터 KBO는 경기의 흐름을 개선하고 국제 대회와의 규정 일치를 위해 몇 가지 새로운 규정을 도입하였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치 클락 도입 

투수와 타자의 준비 시간을 제한하여 경기 시간을 단축하고자 피치 클락이 도입되었습니다.

  • 타석 간 간격: 33초​
  • 주자 없을 시 투수의 투구 간격: 20초​
  • 주자 있을 시 투수의 투구 간격: 25초​
  • 타석당 타자의 타임아웃 횟수: 2회​
  • 투수의 투수판 이탈 제한 없음​

2) ABS 존 조정

자동 볼-스트라이크 시스템(ABS)의 스트라이크 존이 조정되어 보다 정확한 판정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었습니다.​

3) 1, 3루 쓰리피트 라인 규칙 변경

주자의 주루 경로를 명확히 하기 위해 1루와 3루의 쓰리피트 라인 규칙이 변경되었습니다.​

 

4) 아시아 쿼터제 도입

외국인 선수 영입과 관련하여 아시아권 선수들을 추가로 영입할 수 있는 아시아 쿼터제가 도입되었습니다.

  • 영입 선수의 포지션은 무관합니다.
  • 신규 영입 비용은 최대 20만 달러이며, 재계약 시 연봉은 매년 10만 달러씩 상향 가능합니다.​
  • 각 구단은 외국인 선수를 총 4명까지 보유할 수 있습니다.​

4. 올스타전

2025년 KBO 올스타전은 7월 12일(토)에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올스타전으로 인한 정규 시즌 휴식기는 7월 11일(금)부터 16일(수)까지 총 6일간이며, 이는 작년보다 2일 연장된 기간입니다. ​

5. 마무리 

2025년 KBO 시즌은 중계권 계약의 확대, 경기 일정의 조정, 그리고 새로운 규정의 도입 등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들이 리그의 발전과 팬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길 기대하며, 야구 팬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반응형